「돈이 되는 글쓰기의 모든것」을 읽고 나서 글쓰기 훈련을 시작.

아직은 마음만 앞서고 실천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고민말고 실행... 

 

 

글쓰기 홈트레이닝 - 레벨별

레벨 주요활동 파트1 (25) 파트2 (40)  파트3 (25) 주말
레벨A: 읽기 집중 연습 베껴쓰기 읽기연습
베껴쓰기
읽기연습
요약하기
읽기연습
자료정리
저널쓰기
레벨A+: 생각하기 연습 저널쓰기 읽기연습
베껴쓰기
생각연습
오레오 공식
생각연습
저널쓰기
에세이 완성
포스팅
레벨A++: 쓰기 집중 연습  에세이 쓰기 자료정리
아이디어 만들기
오레오공식
저널쓰기
에세이 완성
포스팅하기
베껴쓰기

각 레벨은 21일씩 연습 ▶ 총 63일

- 뇌가 새로운 변화를 눈치채는데 걸리는 최소의 시간: 21일

-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한계점: 8주

- 습관이 새롭게 자리 자븐데 소요되는 시간 66일

ㆍ생각과 자료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연습

 

레벨0: 베껴쓰기 습관화

목표기간: 2020.09.21. ~

 

베껴쓰기의 시작.

일단 습관화를 먼저 하고 나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생각이다. 습관화가 되고 나면 위의 단계를 진행하고 피드백을 주고 받을 만한 모임이나 교육을 찾아봐야겠다. 

 

몰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의 확보가 우선

1. 시간과 장소를 구체적을 정한다.

2. 매일 작업목표를 정하고 한다. 

3. 도움이 되는 환경을 만든다. 

 

읽기 능력을 기르는 베껴 쓰기 연습법

개요 글 한편을 그대로 옮겨 쓰기
잘 읽히는 글의 감각과 안목을 기르기 위해
어떻게 / 언제 매일 편한 시간에
어디에 워드파일, SNS / 노트(수기작성)
무엇을 논설위원이 쓴 1500자 내외의 칼럼
어떤 방법 의미 단위로 외워서 옮겨 적기
주의 사항 출처와 필자 이름 꼭 밝히기

 

베껴쓰기 방법

1. 신문 칼럼을 읽기 - 소리내어 한줄, 한줄 집중하여 읽는다.
2. 옮겨쓰며 읽기 - 가능한 의미 단위별로 끊어서 옮기기 (*단어별 옮겨적기: 느린 읽기 속도, 의미파악 어려움, 불편한 읽기)
3. 소리내어 다시 읽기 - 소리 내어 읽으며 오타/오류 바로잡기

 

 

베껴쓰기 심화과정

베껴쓰기 + 요약하기 베껴쓰기 내용을 요약(1500자 칼럼 ⇒ 100자 이내 요약)
- 사실적 이해력, 핵심을 간파하는 능력, 추려 정리하는 능력 강화
- 피드백이 있으면 금상첨화
(대체) 네이버, 다음 서비스(요약봇, 자동요약 서비스)
- 의견, 해석은 포함하지 않는다.
베껴쓰기 + 내 식대로 다시쓰기 칼럼 내용을 내 언어로 다시 써보기
- 아이디어는 그대로
- 전개방식, 문장표현은 내 식대로 ⇒ 핵심 이해, 깊은 이해
베껴쓰기 + 배경지식 정리하기 새로운 지식, 호기심이 생긴 지식 ⇒ 따로 정리 : 제목과 설명의 포맷으로 정리
베껴쓰기 + 내 것 만들기 베껴쓰기를 통해 내용을 더 확실히 이해하고,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가지게 된다.
⇒ 이 생각과 느낌을 글로 써보기 ⇒ 원문에 대한 나의 생각/느낌을 다룬 글 탄생

'Reading >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1] 베껴쓰기 다시 1일  (0) 2023.11.23
[001] 베껴쓰기 1일차  (1) 2022.09.26

성공하는 사람을 따라하는거도 어렵겠지만, 

하지 말아야할 행동을 하지 않는것이 더 어렵겠구나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글이다.
 
먼저 하지 말아야할 나쁜 습관을 길들이는데 집중하고 내가 하고 싶은일을, 
해야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야할것이다. 


성공하는 사람이 하지 않는 행동 10가지

성공은 하나의 사건처럼 ‘쾅’ 소리를 내며 우리 인생에  찾아오는 게 아니다. 그것을 원하며 노력하다 보면, 어느새 ‘성공’이란 것을 조심스레 말할 수 있는 시간이 다가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각자의 삶에서 ‘성공’을 손에 넣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그리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일까? 
모두가 성공했다고 인정하는 사람들을 통해, 그들이 하지 않는 행동 10가지를 알아보자. 

1. 익숙한 환경에 머무르지 않는다 

‘컴포트 존(comfort zone)’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는 익숙하고, 모든 것이 자기 손안에 통제돼 있으며, 불안함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이 이 컴포트 존에 있을 때 편안함을 느끼는 이유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곳에만 머무르는 삶은 쳇바퀴 구르는 삶과 다를 바 없다. 성공한 사람들은 이러한 컴포트 존에서 벗어나 자기 삶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할 때, 삶의 가능성과 사고의 지평을 넓힌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으므로 익숙한 환경에 머무르려 하지 않는다.


2. 배움이 없는 일을 하지 않는다

성공한 사람들은 배움과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빌 게이츠가 어느 순간 새로운 것을 배우기를 멈췄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인터넷은 1990년대의 상태 그대로일 수도 있다. 이처럼 배움을 멈추면, 우리는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들에만 의존해 살아가야 한다. 앎을 통한 삶의 확장은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3. 조언 구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사람들은 조언을 구하는 것 자체가 상대에게 자기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드러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혼자 해결하려 애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자신의 잠재력을 한계에 가둬 두는 것이다. 왜냐하면, 조언은 때로 내가 절대 생각할 수 없는 것들을 제시해 꽉 막혔던 일이 다른 방향으로 잘 풀리게 돕기 때문이다.


4. 작은 것에 연연하지 않는다

아주 작은 부분까지 꼼꼼하게 봐야 직성이 풀리는 완벽주의 성향들이 있다. 하지만 이 완벽주의가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큰 그림을 그릴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작은 것에 연연하기 전에,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 우선이다. 작은 디테일은 눈에도 잘 띄고, 집중하기 쉽다. 하지만 이는 더 큰 것을 놓치게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큰 그림이 있어야 방향과 실행력을 잃지 않을 수 있다.



5. 멀티 테스킹을 하지 않는다



6. 스스로 거짓말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거짓말하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이고, 변명 없이 자기 자신의 문제를 받아들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그 문제를 외면해 스스로 문제가 없다며 거짓말하지 않고, 문제를 직접 마주하고 그것을 포용할 줄 안다. 그래야 이전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7. 피드백 구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피드백은 자기 자신이 보지 못한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 피드백 구하는 것을 자꾸 미룬다면, 이는 자신의 꿈을 성취할 수 있는 시간을 놓치고 있는 것과 같다. 미루면 미룰수록, 피드백을 활용할 시간은 더 줄어들게 된다. 


8. 따라 하지 않는다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 리드하는 사람과, 따르는 사람들. 물론, 성공한 사람들은 전자다. 그들은 결승선까지 갈 때 누군가의 뒤통수만 보며 따라가지 않는다. 그들은 스스로가 있어야 할 필요가 있는 곳을 찾아 새로운 길을 닦았다. 남들이 간 길을 따라가기만 한다면, 차이를 만들 수 없다. 


9. 과거가 미래를 좌우하지 않도록 한다

과거는 우리가 절대 바꿀 수 없다. 그 과거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가 필요로 했던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렇기에 실수를 반복함으로써 미래가 과거와 같은 길을 걷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과거를 초라한 것으로 규정하고, 그에 얽매이기만 한다면 성공을 만나기는 힘들 것이다.


10. 부정적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는다

성공한 사람들은 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알고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그들을 가로막거나 비난하도록 두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그들은 부정적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부정적인 사람들 사이에 있으면, 당신도 그들의 부정적인 태도에 물들 것이고, 자신의 꿈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가능성을 잃어버릴 것이다. 성공은 그 무엇보다도 스스로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잊지 말자.

출처:  데일리라이프(http://www.daily.co.kr)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관의 정리  (0) 2017.09.26
20170924  (0) 2017.09.24
[Reading]9등급 꼴지 1년만에 통역사 된 비법  (0) 2017.09.20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0) 2017.08.03
새로운 습관의 시작  (0) 2017.08.02

+ Recent posts